"IODD-2541"의 두 판 사이의 차이
iODD
잔글 |
잔글 |
||
103번째 줄: | 103번째 줄: | ||
* 이 방법을 이용하면 고정식 USB 드라이브로 인식된다. | * 이 방법을 이용하면 고정식 USB 드라이브로 인식된다. | ||
* VHD 파일은 [[VHD Tool++]] 를 이용해서 iODD에 직접 만든다. (이 툴을 이용하면 VHD 파일에 물리적으로 디스크 조각이 없이 만들어진다) | * VHD 파일은 [[VHD Tool++]] 를 이용해서 iODD에 직접 만든다. (이 툴을 이용하면 VHD 파일에 물리적으로 디스크 조각이 없이 만들어진다) | ||
− | * 선택 버튼으로 VHD 파일을 선택하면 iODD가 재부팅 되면서 iODD 는 자동으로 '' | + | * 선택 버튼으로 VHD 파일을 선택하면 iODD가 재부팅 되면서 iODD 는 자동으로 ''씨디-모드'' 가 되고 선택한 VHD 로 가상 드라이브가 인식된다. |
− | * '' | + | * ''듀얼-모드'' 와 ''Write Protect''(쓰기방지) 유무를 지정하고 싶다면 VHD 파일이름을 변경하면 된다. [[VHD Tool++]] 참조. |
* 최대 4개의 가상 드라이브를 동시에 선택할수 있다. (파일 하나 선택후에 3초 안으로 다른 파일을 선택함) | * 최대 4개의 가상 드라이브를 동시에 선택할수 있다. (파일 하나 선택후에 3초 안으로 다른 파일을 선택함) | ||
# [[VHD Tool++]] 를 이용하여 iODD 의 ''_ISO'' 폴더 밑에 만든다. | # [[VHD Tool++]] 를 이용하여 iODD 의 ''_ISO'' 폴더 밑에 만든다. | ||
133번째 줄: | 133번째 줄: | ||
화면에 ''디스크 검사 필요'' 라고 출력됩니다. | 화면에 ''디스크 검사 필요'' 라고 출력됩니다. | ||
<div class="mw-collapsible-content"> | <div class="mw-collapsible-content"> | ||
+ | :NTFS 인경우 [http://windows.microsoft.com/ko-KR/windows7/Safely-remove-devices-from-your-computer 안전 제거]를 안하고 드라이브를 제거하면 캐시 데이터를 저장하지 못했을때도 발생합니다.: | ||
:증상이 해결될 때까지 다음 순서에 따라 하나씩 실행하여 주십시오. | :증상이 해결될 때까지 다음 순서에 따라 하나씩 실행하여 주십시오. | ||
+ | # OS 상에서 [http://windows.microsoft.com/ko-KR/windows7/Safely-remove-devices-from-your-computer 안전 제거]를 하고 재연결 한다. | ||
+ | # 윈도우즈에서 [[msko:디스크 오류 검사|디스크 오류 검사]]를 진행하세요. | ||
# 하드 디스크를 바꿔서 PC와 연결합니다. | # 하드 디스크를 바꿔서 PC와 연결합니다. | ||
− | |||
# 새로운 _ISO폴더를 생성하고 자료를 하나씩 복사해서 증상을 확인합니다.(기존의 _ISO폴더는 이름을 바꾸세요, 이동이 아니라 복사입니다) | # 새로운 _ISO폴더를 생성하고 자료를 하나씩 복사해서 증상을 확인합니다.(기존의 _ISO폴더는 이름을 바꾸세요, 이동이 아니라 복사입니다) | ||
# 동일한 증상이 반복된다면 데이터를 백업한 후 HDD를 포맷하여 주세요. | # 동일한 증상이 반복된다면 데이터를 백업한 후 HDD를 포맷하여 주세요. | ||
156번째 줄: | 158번째 줄: | ||
<div class="toccolours mw-collapsible mw-collapsed" style="max-width:800px" > | <div class="toccolours mw-collapsible mw-collapsed" style="max-width:800px" > | ||
− | '' | + | ''파일수 한도 초과'' |
<div class="mw-collapsible-content"> | <div class="mw-collapsible-content"> | ||
루트 디렉토리나 _ISO폴더안에 32개 이상의 파일/폴더가 있을때 발생하는 메시지 입니다. | 루트 디렉토리나 _ISO폴더안에 32개 이상의 파일/폴더가 있을때 발생하는 메시지 입니다. | ||
163번째 줄: | 165번째 줄: | ||
<div class="toccolours mw-collapsible mw-collapsed" style="max-width:800px" > | <div class="toccolours mw-collapsible mw-collapsed" style="max-width:800px" > | ||
− | '' | + | ''_ISO 폴더 없음'' |
<div class="mw-collapsible-content"> | <div class="mw-collapsible-content"> | ||
iODD 드라이브의 첫번째 파티션의 루트 폴더에 ''_ISO'' 폴더를 만드세요 | iODD 드라이브의 첫번째 파티션의 루트 폴더에 ''_ISO'' 폴더를 만드세요 | ||
169번째 줄: | 171번째 줄: | ||
<div class="toccolours mw-collapsible mw-collapsed" style="max-width:800px" > | <div class="toccolours mw-collapsible mw-collapsed" style="max-width:800px" > | ||
− | '' | + | ''지원 파일 없음'' |
<div class="mw-collapsible-content"> | <div class="mw-collapsible-content"> | ||
''_ISO'' 폴더 에 서브폴더나 이미지 파일이 없는 경우 입니다. | ''_ISO'' 폴더 에 서브폴더나 이미지 파일이 없는 경우 입니다. | ||
175번째 줄: | 177번째 줄: | ||
<div class="toccolours mw-collapsible mw-collapsed" style="max-width:800px" > | <div class="toccolours mw-collapsible mw-collapsed" style="max-width:800px" > | ||
− | '' | + | ''디스크 잠김'' |
− | + | ||
− | + | ||
− | + | ||
− | + | ||
− | + | ||
− | + | ||
− | + | ||
<div class="mw-collapsible-content"> | <div class="mw-collapsible-content"> | ||
OS 나 프로그램이 실행하면서 광드라이브를 어떤이유로 락킹 시킨상태 입니다. | OS 나 프로그램이 실행하면서 광드라이브를 어떤이유로 락킹 시킨상태 입니다. | ||
189번째 줄: | 184번째 줄: | ||
<div class="toccolours mw-collapsible mw-collapsed" style="max-width:800px" > | <div class="toccolours mw-collapsible mw-collapsed" style="max-width:800px" > | ||
− | '' | + | ''조각모으기 필요'' |
<div class="mw-collapsible-content"> | <div class="mw-collapsible-content"> | ||
ISO 파일은 24의 디스크 조각까지 허용되며, VHD 나 RMD 는 조각을 허용하지 않습니다. | ISO 파일은 24의 디스크 조각까지 허용되며, VHD 나 RMD 는 조각을 허용하지 않습니다. | ||
196번째 줄: | 191번째 줄: | ||
<div class="toccolours mw-collapsible mw-collapsed" style="max-width:800px" > | <div class="toccolours mw-collapsible mw-collapsed" style="max-width:800px" > | ||
− | '' | + | ''가상하드 초과'' |
<div class="mw-collapsible-content"> | <div class="mw-collapsible-content"> | ||
최대 4개의 가상 드라이브를 지원하는데, 그 이상 선택했습니다. | 최대 4개의 가상 드라이브를 지원하는데, 그 이상 선택했습니다. | ||
202번째 줄: | 197번째 줄: | ||
<div class="toccolours mw-collapsible mw-collapsed" style="max-width:800px" > | <div class="toccolours mw-collapsible mw-collapsed" style="max-width:800px" > | ||
− | '' | + | ''이미 선택됨'' |
<div class="mw-collapsible-content"> | <div class="mw-collapsible-content"> | ||
이미 선택된 가상 드라이브를 다시 선택했습니다. | 이미 선택된 가상 드라이브를 다시 선택했습니다. | ||
208번째 줄: | 203번째 줄: | ||
<div class="toccolours mw-collapsible mw-collapsed" style="max-width:800px" > | <div class="toccolours mw-collapsible mw-collapsed" style="max-width:800px" > | ||
− | '' | + | ''고정 크기만 지원'' |
<div class="mw-collapsible-content"> | <div class="mw-collapsible-content"> | ||
선택한 VHD는 가변식 입니다. 고정식만 지원합니다. | 선택한 VHD는 가변식 입니다. 고정식만 지원합니다. | ||
214번째 줄: | 209번째 줄: | ||
<div class="toccolours mw-collapsible mw-collapsed" style="max-width:800px" > | <div class="toccolours mw-collapsible mw-collapsed" style="max-width:800px" > | ||
− | '' | + | ''스파스 지원 안함'' |
<div class="mw-collapsible-content"> | <div class="mw-collapsible-content"> | ||
가상 드라이브 이미지는 sparse 파일을 지원 하지 않습니다. | 가상 드라이브 이미지는 sparse 파일을 지원 하지 않습니다. | ||
229번째 줄: | 224번째 줄: | ||
=== QNA === | === QNA === | ||
<div class="toccolours mw-collapsible mw-collapsed" style="max-width:800px" > | <div class="toccolours mw-collapsible mw-collapsed" style="max-width:800px" > | ||
− | 화면에 IODD | + | 화면에 IODD 2541만 출력됩니다. |
<div class="mw-collapsible-content"> | <div class="mw-collapsible-content"> | ||
:하드웨어 문제인 경우이며 다음중 하나를 실행하세요 | :하드웨어 문제인 경우이며 다음중 하나를 실행하세요 | ||
243번째 줄: | 238번째 줄: | ||
<div class="toccolours mw-collapsible mw-collapsed" style="max-width:800px" > | <div class="toccolours mw-collapsible mw-collapsed" style="max-width:800px" > | ||
− | 가상 드라이브 (VHD, RMD, IMA)를 마운트 하면 자동으로 '' | + | 가상 드라이브 (VHD, RMD, IMA)를 마운트 하면 자동으로 ''씨디-모드'' 로 되고 ''듀얼-모드'' 로 변경하면 쓰기 금지가 됩니다. |
<div class="mw-collapsible-content"> | <div class="mw-collapsible-content"> | ||
:파일명을 변경하면 됩니다. [[VHD Tool++]] 참조 바랍니다. | :파일명을 변경하면 됩니다. [[VHD Tool++]] 참조 바랍니다. | ||
252번째 줄: | 247번째 줄: | ||
<div class="mw-collapsible-content"> | <div class="mw-collapsible-content"> | ||
* 다음중 하나를 실행하세요 | * 다음중 하나를 실행하세요 | ||
− | # | + | # '7' 버튼을 길게 누른다 ( 펌웨어 6(7)9 이상 부터 ) |
# ''Menu''->''Advanced''->''Umount VHDD'' | # ''Menu''->''Advanced''->''Umount VHDD'' | ||
</div> </div> | </div> </div> | ||
271번째 줄: | 266번째 줄: | ||
== 펌웨어 == | == 펌웨어 == | ||
+ | :펌웨어는 FAT 버전과 NTFS 버전이 있으며 또한 6x 와 7x 버전이 있다 | ||
+ | :7x 버전은 6x 버전에 비행 무작위 암호 해킹 방법에 대응이 잘되어 있다. | ||
+ | :6x 버전도 충분히 안전하지만 7x 버전은 더욱더 안전하다. | ||
+ | |||
=== 업데이트 방법 === | === 업데이트 방법 === | ||
:윈도우즈 OS 가 실행되고 USB 2.0 포트가 1개 이상의 여유가 있는 컴퓨터가 필요합니다. | :윈도우즈 OS 가 실행되고 USB 2.0 포트가 1개 이상의 여유가 있는 컴퓨터가 필요합니다. | ||
288번째 줄: | 287번째 줄: | ||
=== 최신 === | === 최신 === | ||
− | * 2016. 4. 23 - [ftp://sps.iodd.kr/filebase/ | + | * 2016. 4. 23 - [ftp://sps.iodd.kr/filebase/2541/ntfs/iODD_2541_user_fw_writer_04(R069N_B05)_x86.zip NTFS 버전 '''6x'''], [ftp://sps.iodd.kr/filebase/2541/ntfs/iODD_2541_user_fw_writer_04(R079N_B05)_x86.zip NTFS 버전 '''7x'''], [ftp://sps.iodd.kr/filebase/2541/ntfs/iODD_2541_user_fw_writer_04(R069F_B05)_x86.zip FAT32/exFAT 버전 '''6x'''], [ftp://sps.iodd.kr/filebase/2541/ntfs/iODD_2541_user_fw_writer_04(R079F_B05)_x86.zip FAT32/exFAT 버전 '''7x'''] |
− | + | :사소한 버그 수정 | |
− | : | + | |
=== 이전 === | === 이전 === |
2016년 5월 7일 (토) 22:43 판
목차
[숨기기]외형
기능
- 가상 드라이브 - USB 드라이브가 할수 있는 모든것을 할 수 있다.
- 1개의 가상 광디스크 드라이브와 1개의 실제 드라이브와 최대 4개의 가상 드라이브로 인식될수 있다
- *.ISO (광디스크 - CD,DVD,Blu-ray), *.VHD (가상 드라이브), *.RMD (가상 USB 메모리), *.IMA (가상 플로피 디스크) 파일 선택가능
- 상태 저장 - 다중 선택한 가상 드라이브 상태를 저장 할수 있다.
- 쓰기 방지 핫키 - 최후의 로지컬 안전장치
- 파워 다운 핫키 - 최후의 피지컬 안전장치
- 리얼타임 AES 256 암호화 - 4-15자리 암호입력 ( 6자리이면 암호 푸는데 1000 만년 걸림)
메뉴
- 모드 선택 - USB 장치 갯수 와 종류 지정
- 듀얼-모드 - USB 디스크 드라이브 와 광 드라이브 으로 동시에 인식된다.
- 하드-모드 - USB 디스크 드라이브만 인식된다.
- 씨디-모드 - USB 광 드라이브만 인식된다.
- USB 제어판 - USB 관련 메뉴
- USB 쓰기 금지 - 리얼 하드(가상 하드 아님) 디스크의 쓰기 방지 설정
- USB 재연결 - 재연결
- USB 안전 제거 - 하드 디스크 모터 정지및 파워 다운 모드 진입
- 가상디스크 해제 - 모든 가상 드라이브를 해제
- 정보 - 정보를 표시.
- S.M.A.R.T. 정보 - 하드 디스크 상태 정보
- HDD 상태 - 하드 디스크 건강
- HDD 온도 - 하드 디스크 온도
- HDD 모델 - 하드 디스크 모델
- HDD 시리얼 - 하드 디스크 시리얼 넘버
- iODD 정보 - 본 장치 정보
- 펌웨어 버전 - 펌웨어 버전
- USB 연결 속도 - 현재 연결된 USB 속도
- USB 최저 전압 - USB 전원 인가 전압의 최소값을 표시
- USB 현재 전압 - USB 전원 인가 전압의 현재값을 표시
- S.M.A.R.T. 정보 - 하드 디스크 상태 정보
- 환경설정 - 옵션 설정
- 동작중 액정 밝기 - LCD 화면 밝기 조정
- 잠자기 액정 밝기 - 파워다운 모드시 LCD 화면 밝기 조정
- 잠자기 시간 설정 - 디스크 액세스 없이 선택한 시간이 지나가면 파워 다운 모드 진입.
- 기본값 복원 - 모든 세팅을 기본값으로 재설정 된다.
- AES256 암호화 - 암호화 설정
- 암호화 설정 혹은 삭제시 모든 하드 디스크 데이터가 삭제 되니 필요한 데이터는 백업하세요
- 암호화 설정 - 4 - 15 자리의 암호를 입력하여 설정한다.
- 암호화 삭제 - 암호를 삭제한다.
제원
- 외부 인터페이스 - USB 1.1 / 2.0 / 3.0 (MAX 5G bps)
- 내부 인터페이스 - SATA 1.0 / 2.0 / 3.0 (하위 호환)
- 2.5 인치 하드 디스크 ( 두께 9.5mm 이나 그이하 ) 장착 가능.
- 12개 터치키, USB 3.0 마이크로 B 타입 소켓.
- 재질 - 알루미늄, PC
사용법
- 먼저 아래 매뉴얼 을 참조한다.
처음 세팅
- 터치감이 좋게 하기위해서 하드 디스크를 결합할때 디스크 와 터치판 뒷면 사이에 0.5mm 두께의 종이, 비닐 이나 완충재를 넣으면 터치감이 좋아집니다.
- 본 장치의 펌웨어는 NTFS 버전과 FAT32/exFAT 버전이 있는데 생산시 탑재된 펌웨어는 NTFS 버전입니다.
- 만약 선호하는 파티션 종류가 FAT32 이나 exFAT 이면 관련 펌웨어를 다운받아서 업데이트 해주세요.
- 초기 세팅은 다음을 따라 주세요
- 세팅시 사용할 디스크 드라이브(앞으로 디스크 드라이브) iODD 에 장착한후 컴퓨터에 연결한다.
- 디스크 드라이브를 MBR로 초기화 한다.
- 디스크 드라이브의 처음 파티션을 NTFS 로 포맷한다. (만약 FAT 펌웨어라면 FAT32 나 exFAT 으로 포맷한다.)
- FAT32 는 파일 한개당 4기가 바이트 한계가 있기 때문에 전문가 아니면 권장 안함.
- 디스크 드라이브의 루트 폴더를 열어서 _ISO 폴더를 만든다.
- 그 폴더에 *.ISO *.VHD *.RMD *.IMA 이나 서브 폴더를 만들거나 복사한다.
- OS 상에서 안전 제거를 한다. ( 아주 중요 )
- 파워다운 모드로 들어갔다면 USB 를 분리한다.
- 만약 파워다운 모드로 들어가지 못했다면 '1' 버튼을 3 초간 눌러서 파워다운 모드로 진입한다.
- 분리 해주세요 메세지가 나오면 USB 를 분리한후 다시 연결한다.
- 만약 그래도 안될경우 다음과 같이 실행한다.
- iODD를 컴퓨터에서 분리한후 디스크 드라이브를 분리한다.
- 디스크 드라이브를 GPT 로 초기화 한다.
- 위의 처음 세팅(1번) 부터 다시 실행하다.
가상 USB 광 드라이브(Virtual DVD-ROM) 이용
- *.ISO 파일은 비압축 포맷이며 일반 ISO 파일이여야 한다.
- 모든 ISO 파일을 부팅 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부팅용 인지 확인해야 한다.
- 오래된 컴퓨터가 멀티 LUN 을 지원하지 않는다면 메뉴에서 씨디-모드 로 설정한다.
- ISO 파일이나 iODD 가 불량인지 확인 하기 위해서, 평소에 잘되는 컴퓨터에서 테스트 해본다.
- 부팅용 ISO 파일 이더라도 USB DVD-ROM에서 부팅이 되지 않을 수 있다. 실제로 공미디어 구워서 USB DVD-ROM으로 부팅되는지 확인한다.
- 만약 USB DVD-ROM 에서 부팅이 되는데 iODD 에서 부팅이 되지 않으면 USB Y-CABLE 을 사용하여 외부전원을 사용한다.
- 내부 DVD-ROM이 있는 맥북이나 노트북에서 부팅이 되지 않을경우 바이오스 모드로 들어가서 내부 DVD-ROM을 디세이블 시킨다.
- 사용하려는 ISO 파일을 iODD 의 _ISO 폴더나 그 하위 폴더에 복사한다.
- OS 상에서 안전 제거를 한다 (NTFS 일경우 필수)
- 파워다운 모드로 들어갔다면 USB 를 분리한다.
- 만약 파워다운 모드로 들어가지 못했다면 '1' 버튼을 3 초간 눌러서 파워다운 모드로 진입한다.
- 분리 해주세요 메세지가 나오면 USB 를 분리한다.
- 부팅 하려는 컴퓨터에 연결한후 전원을 켠다.
- (선택) 바이오스 모드에 들어가서 부팅 순서를 iODD 나 USB CD-ROM를 최우선으로 변경한다.
- (선택, 이미 상태가 저장 되었다면 스킵) 선택 버튼을 이용해서 ISO 파일을 선택한다.
- 선택 버튼은 '5' 와 '6' 이 있는데, '6' 은 즉시 로딩 상태가 저장된다. (6(7)9-05 이전 버전에는 '5' 버튼만 지원)
- '5' 버튼은 자동으로 로딩 상태가 저장되지 않는다, 그래서 '1' 버튼을 3초간 누르거나 메뉴에 들어갔나 나와야 저장 된다.
- 컴퓨터가 부팅 장치를 못찾을 경우 Ctrl-Alt-Del 을 눌러 재부팅 한다.
가상 USB 고정식 드라이브 (Virtual Hard Disk) 이용
- 고정식 VHD 파일을 이용한다. (가변식 이나 VHDx 형태는 안된다)
- 이 방법을 이용하면 고정식 USB 드라이브로 인식된다.
- VHD 파일은 VHD Tool++ 를 이용해서 iODD에 직접 만든다. (이 툴을 이용하면 VHD 파일에 물리적으로 디스크 조각이 없이 만들어진다)
- 선택 버튼으로 VHD 파일을 선택하면 iODD가 재부팅 되면서 iODD 는 자동으로 씨디-모드 가 되고 선택한 VHD 로 가상 드라이브가 인식된다.
- 듀얼-모드 와 Write Protect(쓰기방지) 유무를 지정하고 싶다면 VHD 파일이름을 변경하면 된다. VHD Tool++ 참조.
- 최대 4개의 가상 드라이브를 동시에 선택할수 있다. (파일 하나 선택후에 3초 안으로 다른 파일을 선택함)
- VHD Tool++ 를 이용하여 iODD 의 _ISO 폴더 밑에 만든다.
- 완료되면 OS 상에서 안전 제거를 한다 (NTFS 일경우 필수)
- 부팅 하려는 컴퓨터에 연결한후 전원을 켠다.
- (선택, 이미 상태가 저장 되었다면 스킵) 선택 버튼을 이용해서 VHD 파일을 선택한다.
- (선택) 바이오스 모드에 들어가서 부팅 순서를 iODD 나 USB Drive를 최우선으로 변경한다.
- 컴퓨터가 부팅 장치를 못찾을 경우 Ctrl-Alt-Del 을 눌러 재부팅 한다.
가상 USB 이동식 플레시 메모리 (Virtual USB Flash Drive) 이용
- 위의 VHD 활용 방법과 거의 같고 단지 파일명만 RMD 로 수정하면 된다.
- 이 방법을 이용하면 이동식 USB 드라이브로 인식된다.
가상 플로피 (Virtual FDD) 이용
- 모든 컴퓨터에서 이 방법이 지원 되는것이 아닙니다.
- 비압축 플로피 이미지 IMA, IMG, BIF, VFD 사용 가능합니다.
- IMG, BIF, VFD 이미지는 IMA 확장자로 변경해야 합니다.
- 사용방법은 위의 ISO 사용방법과 비슷합니다.
매뉴얼
문제해결
에러메세지
[펼치기]
화면에 디스크 검사 필요 라고 출력됩니다.
[펼치기]
화면에 파티션 에러 이라고 나옵니다.
[펼치기]
하드 디스크 이상
[펼치기]
파일수 한도 초과
[펼치기]
_ISO 폴더 없음
[펼치기]
지원 파일 없음
[펼치기]
디스크 잠김
[펼치기]
조각모으기 필요
[펼치기]
가상하드 초과
[펼치기]
이미 선택됨
[펼치기]
고정 크기만 지원
[펼치기]
스파스 지원 안함
QNA
[펼치기]
화면에 IODD 2541만 출력됩니다.
[펼치기]
가상 드라이브 (VHD, RMD, IMA)를 마운트 하면 자동으로 씨디-모드 로 되고 듀얼-모드 로 변경하면 쓰기 금지가 됩니다.
[펼치기]
가상 드라이브 (VHD, RMD, IMA) 마운트를 해제하고 싶습니다.
[펼치기]
펌웨어 업데이트가 자꾸 실패합니다.
펌웨어
- 펌웨어는 FAT 버전과 NTFS 버전이 있으며 또한 6x 와 7x 버전이 있다
- 7x 버전은 6x 버전에 비행 무작위 암호 해킹 방법에 대응이 잘되어 있다.
- 6x 버전도 충분히 안전하지만 7x 버전은 더욱더 안전하다.
업데이트 방법
- 윈도우즈 OS 가 실행되고 USB 2.0 포트가 1개 이상의 여유가 있는 컴퓨터가 필요합니다.
- 주의사항 - 반드시 하나의 iODD 장치만 컴퓨터에 연결 되어야 합니다.
- 자신의 하드 디스크의 첫번째 파티션과 동일한 펌웨어 종류를 선택 해야합니다.
- 만약 다른 펌웨어를 설치했을경우 재차 바른 펌웨어를 실행하세요.
- 아래의 펌웨어 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.
- zip 파일을 적당한 폴더에 압축을 푼다.
- exe 파일을 실행합니다.
- Device is Detected 메세지가 나오면 Update 버튼을 누릅니다.
- 위의 메세지가 안나오면 다음처럼 해보세요
- 다른 컴퓨터에서 업데이트 해보세요
- USB 케이블을 바꿔서 업데이트 해보세요
- iODD의 커버를 분린한후 PCB 기판의 후면 왼쪽 아래 스위치가 있습니다
- 이 스위치를 누른 상태에서 컴퓨터와 연결해서 업데이트 해보세요
- 진행이 완료되면 Exit 버튼을 누르고 iODD를 재연결 합니다.
최신
- 2016. 4. 23 - NTFS 버전 6x, NTFS 버전 7x, FAT32/exFAT 버전 6x, FAT32/exFAT 버전 7x
- 사소한 버그 수정
이전
- 2016. 3. 28 - NTFS 버전 1555, FAT32/exFAT 버전 1555
- VHD, RMD 모드에서 Rufus 프로그램 지원
- 2014. 6. 2 - NTFS 버전 1288, FAT32/exFAT 버전 1288
- 장기 안정 펌웨어